본문 바로가기
약사 공부/항암제, 항암치료 정리

항암제 타그리소정의 가격, 효능/효과, 사용법, 주의사항, 부작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by 약믈학 2023. 4. 15.

항암제 타그리소정 리뷰

타그리소정 가격, 효능/효과, 사용법, 주의사항, 부작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타그리소는 주로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치료에 사용되는 표적항암제입니다.

표적으로 하는 수용체는 EGFR tyrosine kinase(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tyrosine kinase)입니다.

 

타그리소정80mg타그리소정40mg타그리소정
타그리소정 40mg, 80mg

 

비소세포성 폐암에 사용하기 위해선 우선 유효한 표적이 있는지 검사 후 사용가능합니다.

40mg과 80mg 두가지 용량이 있습니다.

 

약 이름 타그리소정
제조/수입사 한국아스트라제네카
식약처 분류 항악성종양제 (421)
일반의약품 / 전문의약품 분류 전문의약품
보관방법 실온(1-30℃)보관, 기밀용기
가격, 의약품 급여코드 타그리소 40mg - 650700990 - 113,066원/1정 급여(2022-03-01)
타그리소 80mg - 650700980 - 211,248원/1정 급여(2022-03-01)

 

타그리소정 효능, 효과

  1. EGFR 엑손 19 결손또는 엑손 21(L858R) 치환 변이된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 완전 종양 절제술 후 보조 치료
  2. EGFR 엑손 19 결손 또는 엑손 21(L858R) 치환 변이된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1차 치료
  3. 이전에 EGFR-TKI로 치료 받은 적이 있는 EGFR T790M 변이 양성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치료

 

타그리소정 사용법 용법, 용량

이 약을 투여하는 경우, 치료 시작 전에 EGFR 변이 상태를 평가해야 한다. 

다음에 대해 충분히 검증된 신뢰성 있는 시험방법을 사용하여 확인하여야 한다.

- 보조 치료 및 1차 치료: 엑손 19 결손 또는 엑손 21(L858R) 치환 변이
- 이전에 EGFR-TKI로 치료 받은 적이 있는 환자: T790M 변이;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동 의약품의 사용에 적합하게 허가된 체외진단용 의료기기를 사용해야 함


이 약의 권장 용량은 1일 1회 오시머티닙 80 mg이다.
이 약은 매일 일정한 시간에 식사와 관계없이 복용한다.

 

치료 기간
보조 치료 환자는 질병이 재발하거나 수용할 수 없는 독성이 나타날 때까지 복용을 지속한다. 

3년을 초과하는 치료 기간은 연구되지 않았다.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 폐암 환자는 질병이 진행되거나 허용할 수 없는 독성이 나타날 때까지 복용을 지속한다.

 

투여방법
이 약은 경구투여하며 물과 함께 통째로 삼켜야 한다. 정제를 부수거나 쪼개거나 씹어서는 안 된다.
환자가 정제를 삼킬 수 없는 경우에는, 우선 비탄산수 50 mL에 녹인다. 

정제를 부수지 않고 물에 넣고 녹을 때까지 저은 후 즉시 마신다. 

그 다음, 잔류물이 남지 않도록 물 약 100 mL을 추가하여 즉시 마신다. 다른 액체를 추가하지 않도록 한다.


비위관(nasogastric tube)을 통한 투여가 필요한 경우, 위와 동일한 과정을 따르되 처음 녹일 때 물 15 mL를 사용하고 잔류물을 헹구는데 15 mL를 사용한다.


약물을 녹인 용액과 잔류물을 헹군 용액은 정제를 물에 넣은 지 30분 안에 투여되어야 한다.

 

투여 누락
이 약의 복용을 누락한 경우, 다음 투여까지 12시간 이상 남았으면 즉시 복용한다.

 

타그리소정 복약정보

타그리소-복약정보
타그리소 복약정보

 

항암제는 일정시간마다 복용하는게 중요하며 쪼개거나 씹지 않고 복용해야 합니다.

특히 눈물분비, 시야흐림, 충혈 등의 증상이 나타날 경우 각막손상의 징후일 수 있으므로 즉시 안과전문의의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타그리소정 부작용, 주의사항, 이상반응

1. 경고

1) 간질성 폐질환(Interstitial Lung Disease, ILD)

ADAURA, FLAURA AURA 임상시험들에서 이 약을 투여받은 1479명의 환자 중 간질성 폐질환 또는 간질성 폐질환 유사 이상반응(. 폐염증)3.7%의 환자에게서 보고되었으며, 이 중 치명적인 건은 0.3%(n=5) 보고되었다. 간질성 폐질환은 일본인 환자의 10.9%, 일본인이 아닌 아시아인 환자의 1.6%, 비아시아인 환자의 2.5%에게서 발생하였다. 간질성 폐질환 또는 간질성 폐질환 유사 이상반응들의 발현시점의 중앙값은 2.8개월이었다.

간질성 폐질환을 시사할 수 있는 호흡기 증상(: 호흡곤란, 기침, 발열)의 악화가 나타나는 환자는 이 약을 중단하고 즉시 간질성 폐질환에 대해 조사한다. 간질성 폐질환이 확인되면 이 약을 영구 중단한다.

 

2) 스티븐스-존슨증후군 및 다형성 홍반 (Erythema multiforme)

이 약 치료와 관련하여, 스티븐스-존슨증후군 및 다형성 홍반의 사례 보고는 각각 드물게 및 흔하지 않게 보고되었다. 치료를 시작하기 전에 환자에게 스티븐스-존슨증후군 및 다형성 홍반의 징후와 증상을 알려야 한다.

스티븐스-존슨증후군을 연상시키는 징후와 증상이 나타나면, 이 약을 즉시 중단 또는 중지해야 한다.

다형성 홍반을 연상시키는 징후와 증상이 있는 경우, 긴밀한 환자 모니터링 및 이 약의 중단 또는 중지를 고려해야 한다.

 

3) QTc 간격 연장

이 약 80mg으로 치료한 ADAURA, FLAURA AURA 임상시험들의 1479명 환자 중, 0.8%(n=12)500 msec 초과 QTc, 3.1%(n=46)는 베이스라인 QTc로부터 60 msec를 초과하는 QTc 증가를 나타냈다. 이 약에 대한 약동학적 분석 시 QTc 간격 연장의 농도 의존적 증가가 예측되었다. FLAURA, AURA, 또는 ADAURA 임상시험들에서 QTc와 관련된 부정맥 사례는 보고되지 않았다.

 

가능한 경우, 선천적으로 긴 QT 증후군이 있는 환자는 이 약의 사용을 피한다 (3.이상반응 참조). 울혈성 심부전, 전해질 이상이 있는 환자, 또는 QTc 간격이 연장되는 것으로 알려진 약물을 투여 중인 환자에서는 심전도(ECG) 및 전해질의 주기적인 모니터링을 고려한다. 심전도 검사에서 QTc 간격이 500 msec을 초과하는 결과가 적어도 2회 별도로 발생한 환자에서는 QTc 간격이 481msec 미만이 될 때까지, 또는 베이스라인 QTc481msec 이상인 경우 베이스라인으로 회복될 때까지 이 약을 중단하고, 이후에 용법용량 항 표 1에 기술된 바와 같이 감소된 용량으로 투여를 재개한다. 다음 중 어느 하나와 더불어 QTc 간격 연장이 발생한 환자는 이 약을 영구 중단한다: 염전성 심실빈맥(Torsade de pointes), 다형성 심실빈맥(polymorphic ventricular tachycardia), 중대한 부정맥의 징후/증상.

 

4) 심수축성/심장독성 변화

임상시험들에서 이 약을 투여받은 1479명의 환자 중 3%에서 심장독성(심부전, 만성 심부전, 울혈성 심부전, 폐부종, 박출률 감소)을 나타냈다. 이 중 1(0.1%)은 치명적인 결과로 이어졌다.

임상시험에서 베이스라인 및 최소 1회의 좌심실박출률 추적 평가를 받은 이 약으로 치료받은 환자의 3.2%(40/1233)에서 좌심실 박출량이 10퍼센트포인트 이상 감소하고 50% 미만으로 나타났다. 위약 대조 시험(ADAURA)에서 이 약을 투여 받은 환자의 1.6%(5/312)와 위약을 투여 받은 환자의 1.5%(5/331)에서 10 퍼센트포인트 이상 50% 미만의 좌심실박출률 감소를 경험했다. 심장 위험인자가 있거나 좌심실박출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상태의 환자에게는 베이스라인 및 치료 중 좌심실박출률 평가를 포함하는 심장 모니터링을 한다. 치료 중 관련된 심장 징후/증상이 있는 환자의 경우, 좌심실박출률 평가를 포함한 심장 모니터링을 한다. 좌심실박출률이 기저치 대비 10 퍼센트포인트 이상 감소하고 50% 미만으로 나타날 경우, 이 약 투여를 최대 4주간 중단하고 중단 후에도 증상이 개선되지 않을 때에는 이 약 투여를 영구 중단한다. 증상성 울혈성 심부전 발생 시에는 이 약의 투여를 영구 중단한다.

 

5) 각막염

ADAURA, FLAURA AURA 임상시험들에서 이 약으로 치료된 1479명의 환자 중 0.7%(n=10)에서 각막염이 보고되었다. 다음과 같은 각막염의 징후 및 증상을 보이는 환자들은 즉시 안과전문의에게 상담을 받아야 한다: 눈의 염증, 눈물 분비, 빛에 민감한 눈, 시야 흐림, 눈의 통증 그리고/또는 눈의 충혈 (용법용량 항 참조)

 

6) 재생 불량성 빈혈

재생 불량성 빈혈이 이 약의 치료와 관련하여 드물게 보고되었다. 일부 사례는 치명적인 결과가 있었다. 치료를 시작하기 전에 환자에게 지속적인 발열, , 출혈, 창백을 포함하되 이에 국한되지 않는 재생 불량성 빈혈의 징후와 증상에 대해 알려야 한다. 재생 불량성 빈혈을 암시하는 징후 및 증상이 발생하면 환자를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이 약의 중지 또는 중단을 고려해야 한다. 재생 불량성 빈혈이 확인된 환자는 이 약을 중단해야 한다.

 

 

국회·복지부·제약사 앞에 남편이 선 이유, 한달 약값 600만원 타그리소의 존재 가치 - 팜뉴스

4년 전 아내가 쓰러졌다. 폐암 말기 진단을 받았다. 약값을 벌기 위해 새 차를 처분하고 그간 모아온 자녀들 결혼자금을 써야 했다. 그 다음은 대출을 받았다. 한계가 있었다. 주변 친인척들의 도

www.pharmnews.com

 

댓글